안녕하세요! 알아두면 쓸데 있는 세상의 모든 정보 [알.쓸.세.정]입니다.
경기도민이라면 간병비 걱정 끝!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로 연 최대 120만 원 지원받고 긴급 간병 공백을 해결하세요. 신청 방법, 지원 대상, 이용 요금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글 싣는 순서]
-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란?
- 지원 대상
- 지원 금액 및 이용 요금
- 신청 방법
-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핵심 요약
- 마무리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란?
최근 '유병장수' 시대가 도래하면서 많은 분들이 간병과 간병비 문제 때문에 고민하시는데요.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는 갑작스럽게 질병, 사고, 출산 등으로 간병이 필요한 도민에게 연간 최대 120만 원까지 간병비를 지원하는 긴급 복지 제도입니다.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이고,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간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기도 거주 65세 이상 노인분들에게 지원됩니다.
① 도내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저소득계층 노인
② 상해‧질병 등으로 인해 병원급 의료기관 이상 (종합병원, 상급병원 등)에 입원해 간병서비스를 받은 자
③ 우선 지원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④ 참여시군(14개) : 화성, 남양주, 평택, 시흥, 광주, 광명, 이천, 안성, 양평, 여주, 동두천, 가평, 연천, 과천 (예정 : 고양)
※ 기존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는 일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지원 금액 및 이용 요금
연 최대 지원 금액
1인당 120만 원
지원 범위
하루 8시간 ~ 24시간 간병 서비스
본인부담금
- 기초수급자·차상위계층 : 본인부담 0원 (무료)
- 일반 가구 : 하루 약 1만~2만 원 본인부담
- 연간 120만 원 초과 사용 시, 초과분은 본인 부담입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간병 SOS 지원 신청서
- 신청자 및 대상자 신분증 사본
- 주민등록등본
- 간병 필요성 증빙서류 (진단서, 입퇴원확인서 등)
- 소득 확인 서류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상황에 따라 추가 서류를 요청 받을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읍·면·동사무소 행정복지센터 또는 아래 '신청방법'의 링크를 클릭하세요~
신청 방법
- 읍·면·동사무소 행정복지센터
- 온라인 신청 (일부 시군 가능): 수원시, 성남시, 고양시 등 일부 지자체는 자체 온라인 시스템 운영
- 문의 콜센터: 031-120 (경기도 콜센터)
- 경기도 민원24 홈페이지 (아래 링크 클릭)
경기민원행정서비스 상세 :: 2025년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div><span style="letter-spacing:0pt">○ (지원대상) 다음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도 거주 65세 이상 노인<br /> - 도 내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저소득계층* 노인<br /> *「경기도 저소득계층
gg24.gg.go.kr
한 가지 유의할 점은, 신청한다고 바로 지원되는 게 아니라 위 신청조건이 확인된 후, 선착순으로 지원되니까 빨리 신청하세요~
핵심 요약
지원 대상 | 긴급 간병 필요한 경기도민 (세부 사항 상기 본문 참조) |
지원 금액 | 1인당 연 최대 120만 원 |
이용 요금 | 기초수급자 무료, 일반 가구 일부 본인부담 |
신청 방법 | 전화·방문 접수 / 일부 시군 온라인 신청 가능 |
필수 서류 | 신청서,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증빙서류 등 |
마무리
급하게 간병이 필요한 상황이 생겼을 때, 경제적 부담 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
자격요건에 해당되신다면 꼭 신청하셔서 지원 혜택을 누려보세요.
'알아두면 쓸데있는 세상의 모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콩버터 vs 아몬드버터, 무엇을 먹을까? 영양, 성분, 효과, 맛, 장단점 차이 등 총정리! (0) | 2025.04.22 |
---|---|
2025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최신정보: 대상, 자격, 금액, 신청자격, 자동신청 총정리! (0) | 2025.04.10 |
몰라서 못 받는 정부지원금, 가족 연금! 신청자격, 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3.21 |
올리브 오일 vs 아보카도 오일: 성분, 효능, 영양성분, 활용법, 선택기준 비교 총정리 (0) | 2025.03.18 |
치매 환자 가족 필수! 치매주간보호센터의 이용자격, 절차, 금액 등 총정리 (0) | 2025.03.13 |
댓글